맨위로가기

프리기아 모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기아 모자는 붉은 삼각 모자로, 원래 프리기아에서 유래되었지만 고대 로마에서는 자유를 얻은 노예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자유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자유, 공화주의, 반세금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미국 혁명과 라틴 아메리카 독립 전쟁에서도 자유의 상징으로 채택되어 여러 국가의 문장이나 국기에 등장한다.

2. 역사

프리기아 모자는 붉은색 삼각 모자로, 원래 프리기아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고대 로마에서는 해방된 노예가 자유 신분을 얻었음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기원 때문에 프리기아 모자는 '예속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하게 되었고,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상퀼로트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혁명기에는 글을 읽고 쓸 수 없는 민중에게 혁명 정신을 전달하기 위해 "프리기아 모자와 트리콜로르 깃발"이나 "프리기아 모자를 쓴 지팡이를 든 자유의 여신"과 같은 도안이 사용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7월 혁명 때 외젠 드라크루아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서 자유의 여신은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 이후 프리기아 모자를 쓴 마리안이 프랑스의 상징이 되었다.

미국 합중국의 화신 콜롬비아


프리기아 모자는 자유와 공화주의를 상징하며,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국가에서도 사용되었다.

  • '''미국''': 미국 독립 전쟁 시기부터 사용되었으며, 미국 상원 인장, 미 육군성 인장 등 여러 상징물에 등장한다.
  • '''라틴 아메리카''' : 라틴 아메리카의 반 식민지 혁명 과정에서 미국과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여러 국가의 문장에 등장한다.


다음은 라틴 아메리카와 아이티의 문장과 국기에 나타난 프리기아 모자이다.

국가문장/국기설명
아이티--아이티의 문장은 야자수 꼭대기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아이티 혁명노예 반란으로 이 나라가 건국되었음을 기념한다.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의 문장은 두 개의 맞잡은 손이 잡고 있는 창 위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이는 국가의 단결과 자유를 위해 싸우려는 의지를 상징한다.
콜롬비아--콜롬비아의 문장은 자유와 해방의 상징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한다.
볼리비아--볼리비아의 문장, 볼리비아의 국기인 국가 기에 등장
쿠바--쿠바의 문장
엘살바도르--엘살바도르의 문장, 엘살바도르 국기에 등장
니카라과--니카라과의 문장, 니카라과 국기에 등장
파라과이--파라과이의 문장의 뒷면, 반대면의 파라과이 국기에 등장


2. 1. 고대

프리기아 모자는 원래 스키타이인, 메디아, 페르시아 등 여러 이란 민족이 사용하던 모자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란식 모자를 "티아라"라고 불렀다.[8] 그리스인들은 동쪽 이웃 민족들이 쓰는 모자를 "프리기아 모자"라고 불렀지만, 실제로는 서쪽의 카파도키아인부터 북동쪽의 사카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이란 부족이 착용했다. 페르세폴리스의 부조를 보면, 이 모자는 귀와 목에 긴 덮개가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졌고, 상단의 형태는 다양했다. 왕은 "직립(''orthē'') 티아라"를 착용했고, 메디아 상류층은 높고 볏이 있는 티아라를 착용했다.[8]

기원전 4세기경부터 프리기아 모자는 키벨레의 배우자인 아티스와 연관되기 시작했다. 미다스 왕, 레소스, 오르페우스 등도 도기와 조각상에서 프리기아 모자를 쓴 모습으로 묘사된다.[9] 프리기아 모자는 트로이인, 아마존, 스키타이 궁수 등 비(非)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에게도 적용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이들을 "야만인"으로 여겼다. 트라키아 여신 벤디스와 오르페우스도 프리기아 모자를 쓴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헬레니즘 시대 이전부터 그리스인들은 프리기아 모자와 비슷한 군사 투구인 "프리기아 투구"를 개발했다. 이 투구는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트라키아, 다키아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로마 시대에도 프리기아 모자는 계속 사용되었으며, 트라야누스 원주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1세기에서 4세기에 걸쳐 미트라교와 관련된 인물들도 프리기아 모자를 쓴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초기 기독교 미술에서는 동방 박사들이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묘사되었다.[10]

2. 1. 1. 이란 세계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는 파르티아인(오른쪽), 서기 203년


프리기아 모자는 원래 스키타이인, 메디아, 페르시아를 포함한 여러 이란 민족이 사용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이란식 변형은 부드러운 머리 장식이었고 "티아라"라고 불렸다.

그리스인들은 동쪽 이웃과 한 변형을 동일시하여 "프리기아 모자"라고 명명했지만, 실제로는 서쪽의 카파도키아인(고대 페르시아어 ''Katpatuka'')부터 북동쪽의 사카인(OPers. ''Sakā'')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이란 부족이 착용했다. 이 변형과 다른 변형은 페르세폴리스의 부조에서 관찰할 수 있다. 모두 귀와 목에 긴 덮개가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상단의 형태는 다양하다. 유명한 "직립(''orthē'') 티아라"는 왕이 착용했다. 메디아 상류층은 높고 볏이 있는 티아라를 착용했다.[8]

2. 1. 2. 초기 헬레니즘 세계



기원전 4세기(초기 헬레니즘 시대) 무렵, 프리기아 모자는 프리기아인의 배우자이자 숭배가 헬레니즘화된 키벨레아티스와 연관되었다. 이 모자는 미다스 왕과 트라키아의 레소스, 전설적인 음유시인 오르페우스와 그리스의 도기와 조각상에 묘사된 다른 트라코-프리기아인들의 묘사에 나타난다.[9] 이러한 이미지는 이 모자에 대한 가장 초기의 문학적 언급보다 앞선다.

프리기아 모자는 다른 여러 비(非)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야만인" - 고전적인 의미)에게도 적용되었다. "프리기아"의 이러한 확장된 의미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트로이인들과 그리스인들의 인식에서 프리기아인들과 동의어였고, 그들의 영웅 파리스, 아이네이아스, 가니메데가 모두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묘사된 서부 아나톨리아인들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다른 토기들은 아마존과 소위 "스키타이" 궁수들을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묘사했다. 이것들은 군사적 묘사이지만, 이 머리 장식은 긴 귀덮개로 "프리기아 투구"와 구별되며, 그 인물들은 또한 바지로 인해 "야만인"으로 식별된다. 이 머리 장식은 기원전 2세기 보이오티아의 타나그라 조상에서 여성적인 에로스와 동부 아나톨리아의 기원전 1세기 조각상에서도 나타난다. 트라키아인에 대한 그리스의 묘사 역시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자주 나타나는데, 특히 달과 사냥의 트라키아 여신 벤디스와 전설적인 트라키아 시인이자 음악가인 오르페우스가 그렇다.

프리기아 모자는 양모나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들어졌지만, 헬레니즘 시대 이전부터 그리스인들은 비슷한 특징의 뒤집힌 팁을 가진 군사 투구를 개발했다. 이러한 소위 "프리기아 투구"(모자에서 따와 현대에 명명됨)는 일반적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 시대까지 트라키아, 다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 및 나머지 헬레니즘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들의 외형적인 유사성 때문에, 모자와 투구는 그리스 예술 작품(특히 흑색 또는 적색 토기)에서 긴 귀덮개나 긴 목덮개로 부드럽고 유연한 모자로 식별되지 않는 한 종종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혼란스럽게 유사한 것은 기병과 경보병(''예.'' 펠타스테스 (트라키아 및 파이오니아)가 사용한 투구로, 전통적인 ''알로페키스''(여우 가죽 모자) 외에도 청동 투구를 모방한 뻣뻣한 가죽 투구를 포함했다.

2. 1. 3. 로마 시대

그리스의 개념은 확장된 의미로 로마에 전해져, 프리기아인이나 트로이인뿐만 아니라 그리스의 다른 이웃 국가들에게도 적용되었다. 트라야누스 원주에는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101-102년, 105-106년)을 기념하기 위해 다키아 전사들의 머리에 프리기아 모자를 씌웠다.[10] 라오디게이아 고대 도시의 트라야누스 3미터 조각상에서 트라야누스를 호위하는 죄수는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 파르티아인들은 2세기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에서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나타나는데, 이는 파르티아 제국에 대한 로마의 승리를 기념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2세기의 프리기아 모자를 쓴 골족이 4세기에 지어진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의 조각상에도 나타난다.

다키아인 조각상,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음


프리기아 모자는 1세기에서 4세기에 걸친 미트라교와 관련된 인물들에게서도 다시 나타난다. 이 점성술 중심의 로마 신비 종교는 전통적인 로마 종교와 다른 신비 종교로부터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가짜 오리엔탈 장식(''페르세리''로 알려짐)을 사용했다. 이 종교의 예술 작품(예: 소위 "황소 살해" 신상)에서 신 미트라스의 모습과 그의 조력자들인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의 모습은 일상적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묘사된다.

초기 기독교 미술(그리고 중세 시대까지)은 (가짜) 조로아스터와 그의 "마기"가 점성술과 마법의 전문가라는 동일한 그리스-로마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며, 일상적으로 "세 박사"(별을 따르는)를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묘사한다.[10]

2. 2. 자유의 상징으로

네덜란드 처녀가 기둥에 자유의 모자를 들고 있는데, 이는 프리기아 형태가 아니다. 1660년


베네치아에서는 중세 시대부터 1797년까지 베네치아의 도제가 왕관 대신 공화주의적 자유의 상징으로 프리지아 모자를 사용했다. 창에 프리지아 모자를 든 여성 형상인 리베르타스의 상징은 1500년대 두칼 궁전에 있는 파올로 베로네세의 주요 그림인 베네치아의 신격화에 등장했으며, 이 도상학은 나중에 프랑스와 미국의 예술 및 주화에서 재사용되었다.



18세기에 이 모자는 영국의 정치 판화에서 자유의 속성으로 자주 사용되었다.[20] 1819년 7월 5일 영국 블랙번에서 앨리스 키친과 같은 여성 개혁가들이 첫 번째 개혁 회의에 참석하여 의장 존 나이트에게 녹색 안감을 댄 진홍색 실크 또는 새틴으로 만들어졌고, 뱀 모양의 금색 레이스와 풍성한 금색 술로 장식된 "가장 아름다운 자유의 모자"를 선물했다.[19]

미국 상원 인장의 프리기아 모자


1783년 리베르타스 아메리카나 메달. 벤자민 프랭클린이 기획하고 디자인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을 기념하고 자유의 여신이 프리기아 모자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미국 독립 전쟁 직전 몇 년 동안, 미국인들은 "영국인의 권리"를 시각적으로 옹호하기 위해 이러한 판화 중 일부를 모방하거나 따라 했다.[20] 이후, 공화주의와 반군주제의 상징은 미국의 국가적 의인화이자 자유 자체인 여신과 같은 여성으로 시각화된 콜럼비아의 머리 장식으로 미국에 나타났다.[21] 이 모자는 공화국 초기, 예를 들어 1785년 '면역 콜럼비아' 패턴 동전 앞면에 콜럼비아와 함께 다시 나타났는데, 이 동전은 지구본에 앉아 오른손에 자유 모자를 얹은 깃발을 든 헬멧을 쓴 여신을 보여준다.[21]

1793년부터 미국 주화는 콜럼비아/자유가 이 모자를 쓴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반연방주의 운동 역시 이 인물을 활용했는데, 1796년 만화에서 콜럼비아가 날개 아래에 자유 기둥을 든 거대한 미국 독수리에게 압도당하는 모습이 묘사되었다.[21] 이 모자가 통용 주화에 마지막으로 등장한 것은 1947년까지 주조된 워킹 리버티 하프 달러였으며, 현재의 불리언 아메리칸 실버 이글에 재사용되었다.

미국 육군은 1778년부터 "육군성 인장"을 사용해 왔으며, 여기에는 프리기아 모자 위에 "이것을 지키겠다"라는 모토가 거꾸로 된 위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웨스트버지니아와 아이다호 주 기(공식 인장의 일부), 뉴저지, 뉴욕 주 기와 미국 상원의 공식 인장, 아이오와 주, 노스캐롤라이나 주(및 상원의 문장[23])와 펜실베이니아 인장과 버지니아 인장의 뒷면에 나타난다.

1854년, 조각가 토머스 크로포드가 미국 국회의사당 조각을 위한 모델을 준비하고 있었을 때, 당시 전쟁 장관 제퍼슨 데이비스는 "미국의 자유는 독창적이며 해방된 노예의 자유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자유의 여신상''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시키지 말 것을 주장했다. 이 모자는 현재 건물에 있는 최종 청동 버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24]

라틴 아메리카의 반 식민지 혁명은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의 이미지와 슬로건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그 결과, 이 모자는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문장에 등장했다. 아이티의 문장은 이 나라가 반란을 일으킨 노예들에 의해 아이티 혁명을 통해 건국되었음을 기념하기 위해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멕시코의 특정 동전(특히 8-레알 구 동전)에도 이 모자가 표시되었다. 오늘날, 이 모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 엘살바도르, 아이티, 니카라과, 파라과이의 문장 또는 국기에 등장한다.

'''라틴 아메리카와 아이티의 문장과 국기의 프리기아 모자'''

--아이티의 문장은 야자수 꼭대기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아이티 혁명노예 반란으로 이 나라가 건국되었음을 기념한다.
--아르헨티나의 문장은 두 개의 맞잡은 손이 잡고 있는 창 위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이는 국가의 단결과 자유를 위해 싸우려는 의지를 상징한다.
--콜롬비아의 문장은 자유와 해방의 상징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한다.


2. 2. 1. 로마 공화정 말기

후기 로마 공화정 시대에 ''필레우스''라고 불리는 부드러운 펠트 모자는 자유인(노예가 아닌 사람)의 상징이었으며, 해방 시 노예에게 상징적으로 주어져 개인의 자유뿐만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자유, 즉 투표권(남성의 경우)을 부여했다.[11]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이후, 브루투스와 그의 공모자들은 카이사르의 로마 독재관 종식과 (로마) 공화정 체제로의 복귀를 나타내기 위해 이 ''필레우스''의 상징성을 활용했다.[11]

필레우스가 자유와 공화주의와 연관된 이러한 로마의 연관성은 18세기로 이어졌고, 이후 중세 이탈리아, 특히 베네치아에서 프리지아 모자가 사용된 후 프리지아 모자와 혼동되어 이러한 가치의 상징이 되었다.[12]

2. 2. 2. 프랑스 혁명

붉은 모자(bonnet rouge)와 삼색 장식을 착용한 프랑스 혁명가들


1675년, 브르타뉴와 프랑스 북서부에서 종이 도장 반란이 일어났는데, 반란자들이 착용한 파란색 또는 빨간색 모자를 따서 ''보네 루즈'' 봉기로 알려졌다. 반란자들이 특별한 스타일의 모자를 선호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 이름과 색상은 귀족과 기득권에 대한 반란의 상징으로 굳어졌다. 로베스피에르는 나중에 그 색깔에 반대했지만 무시당했다.

프랑스 혁명의 상징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사용한 것은 1790년 5월 트루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동상을 장식한 축제와 리옹에서 자유의 여신 리베르타스가 들고 있는 창에 처음 기록되었다.[14] 오늘날까지 프랑스의 국가적 알레고리인 마리안은 빨간색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15]

파리의 노동자 계급은 ''보네 루즈''와 ''상퀼로트''(비단 반바지 없음)를 착용함으로써 그들의 혁명적 열정과 평민 연대를 즉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게 했다. 1791년 중반, 이러한 조롱 섞인 패션 선언에는 마르퀴 드 빌레트가 "자유로운 남자와 프랑스 재생의 시민 왕관"이라고 선언한 파리 헤어스타일인 ''보네 루즈''가 포함되었다. 1792년 7월 15일,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은 ''보네 루즈''를 공로가 있는 사람들만 착용할 수 있는 신성한 상징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 상징적인 헤어스타일은 귀족의 화려한 가발과 주교의 빨간 모자를 조롱하는 방법이 되었다. 1793년 11월 6일, 파리 시의회는 이를 모든 구성원의 공식 헤어스타일로 선언했다.

창에 꽂힌 ''보네 루즈''는 1792년 9월 22일 국민 공회의 세 번째 회기인 국가 문장의 구성 요소로 제안되었다. 간 쿨롱의 제안에 따라 국민 공회는 시민권과 자유의 상징으로 헌정되었으므로 죄수는 빨간 모자를 착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1792년, 루이 16세가 헌법에 서명하도록 유도되었을 때, 국왕의 인기 있는 판화가 수정되어 그가 ''보네 루즈''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6] 볼테르의 흉상은 1792년 3월 코미디 프랑세즈에서 그의 ''브루투스'' 공연 후 자유의 빨간 모자로 장식되었다.

공포 정치 시대(1793년 9월 – 1794년 7월) 동안, 이 모자는 온건파 또는 귀족으로 비난받을 수 있으며 새로운 정권에 대한 충성을 특히 열심히 홍보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방어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모자는 종종 ''트리코테즈''로 알려진 여성들에 의해 뜨개질되었다.[17] 1794년,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첨탑은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네 루즈''로 장식되었다.

프리기아 모자는 붉은 삼각 모자이다. 이 모자는 원래 프리기아에 기원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고대 로마에서는 자유 신분의 해방된 노예가 쓰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이 기원에서 프리기아 모자는 '''예속에서 자유로의 해방'''이라는 상징이 되었으며, 프랑스 혁명에서는 상퀼로트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혁명기에는 글을 읽고 쓸 수 없는 민중에게 "혁명 정신"을 전달하기 위해 "프리기아 모자와 트리콜로르 깃발"이나 "프리기아 모자를 쓴 지팡이를 든 자유의 여신" 등의 도안이 고안되어 사용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의 7월 혁명 때 외젠 드라크루아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서는 자유의 여신이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 이후, 프리기아 모자를 쓴 여신, 마리안이 프랑스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2. 2. 3. 프랑스 혁명 이후

1814년 황제 퇴위 법안에 따라 보나파르트 왕가가 공식적으로 폐위되고 부르봉 왕정이 복고되면서, 프리기아 모자, 라 마르세예즈, 바스티유의 날 축하 행사는 금지되었다. 이 상징들은 1815년 3월에서 7월까지 나폴레옹의 백일천하 기간 동안 잠시 다시 나타났지만, 1815년 7월 8일 루이 18세의 두 번째 복고 이후 즉시 다시 탄압되었다.[18]

이 상징들은 1830년 7월 혁명 동안 다시 나타났으며, 이후 루이 필리프 1세의 자유주의적인 7월 왕정에 의해 부활되었다. 혁명의 상징—국가, 공휴일, 그리고 프리기아 모자—는 "국가가 성스럽게 하고 대중이 받아들인 국가 유산의 구성 요소"가 되었다.[18]

공화주의와의 연관성은 '보네 루즈'(bonnet rouge, 붉은 모자)와 함께 1913년부터 1922년까지 극우 왕당파 반혁명 운동인 아크시옹 프랑세즈를 겨냥하여 미겔 알메레이다가 발행한 프랑스 풍자 공화주의 및 아나키스트 정기간행물의 --으로 채택되었다.

'보네 루즈'와 관련된 반세금 연관성은 2013년 10월에 부활했는데, 당시 프랑스의 세금 저항 운동인 '보네 루즈'(Bonnets Rouges, 붉은 모자)가 붉은 혁명 시대의 프리기아 모자를 시위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대규모 시위와 고속도로 세금 징수소 파괴 등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이 운동은 프랑스 정부가 세금을 철회하도록 성공적으로 압력을 가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의 7월 혁명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서는 자유의 여신이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 이후, 프리기아 모자를 쓴 여신 마리안이 프랑스 상징이 되었다.

2. 3. 미국 혁명과 라틴 아메리카

미국 독립 전쟁 직전 몇 년 동안, 미국인들은 "영국인의 권리"를 시각적으로 옹호하기 위해 이러한 판화 중 일부를 모방하거나 따라 했다.[20] 이후, 공화주의와 반군주제의 상징은 미국의 국가적 의인화이자 자유 자체인 여신과 같은 여성으로 시각화된 콜럼비아의 머리 장식으로 미국에 나타났다.[21] 이 모자는 공화국 초기, 예를 들어 1785년 '면역 콜럼비아' 패턴 동전 앞면에 콜럼비아와 함께 다시 나타났는데, 이 동전은 지구본에 앉아 오른손에 자유 모자를 얹은 깃발을 든 헬멧을 쓴 여신을 보여준다.[21]

1793년부터 미국 주화는 콜럼비아/자유가 이 모자를 쓴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반연방주의 운동 역시 이 인물을 활용했는데, 1796년 만화에서 콜럼비아가 날개 아래에 자유 기둥을 든 거대한 미국 독수리에게 압도당하는 모습이 묘사되었다.[21] 이 모자가 통용 주화에 마지막으로 등장한 것은 1947년까지 주조된 워킹 리버티 하프 달러였으며, 현재의 불리언 아메리칸 실버 이글에 재사용되었다.

미국 육군은 1778년부터 "육군성 인장"을 사용해 왔으며, 여기에는 프리기아 모자 위에 "이것을 지키겠다"라는 모토가 거꾸로 된 위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웨스트버지니아와 아이다호 주 기(공식 인장의 일부), 뉴저지, 뉴욕 주 기와 미국 상원의 공식 인장, 아이오와 주, 노스캐롤라이나 주(및 상원의 문장[23])와 펜실베이니아 인장과 버지니아 인장의 뒷면에 나타난다.

1854년, 조각가 토머스 크로포드가 미국 국회의사당 조각을 위한 모델을 준비하고 있었을 때, 당시 전쟁 장관 제퍼슨 데이비스는 "미국의 자유는 독창적이며 해방된 노예의 자유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자유의 여신상''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시키지 말 것을 주장했다. 이 모자는 현재 건물에 있는 최종 청동 버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24]

라틴 아메리카의 반 식민지 혁명의 상당수는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의 이미지와 슬로건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그 결과, 이 모자는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문장에 등장했다. 아이티의 문장은 이 나라가 반란을 일으킨 노예들에 의해 아이티 혁명을 통해 건국되었음을 기념하기 위해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멕시코의 특정 동전(특히 8-레알 구 동전)에도 이 모자가 표시되었다. 오늘날, 이 모자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 엘살바도르, 아이티, 니카라과, 파라과이의 문장 또는 국기에 등장한다.

'''라틴 아메리카와 아이티의 문장과 국기의 프리기아 모자'''

국가문장/국기설명
아이티--아이티의 문장은 야자수 꼭대기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아이티 혁명노예 반란으로 이 나라가 건국되었음을 기념한다.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의 문장은 두 개의 맞잡은 손이 잡고 있는 창 위에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하며, 이는 국가의 단결과 자유를 위해 싸우려는 의지를 상징한다.
콜롬비아--콜롬비아의 문장은 자유와 해방의 상징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포함한다.
볼리비아--볼리비아의 문장, 볼리비아의 국기인 국가 기에 등장
쿠바--쿠바의 문장
엘살바도르--엘살바도르의 문장, 엘살바도르 국기에 등장
니카라과--니카라과의 문장, 니카라과 국기에 등장
파라과이--파라과이의 문장의 뒷면, 반대면의 파라과이 국기에 등장


3. 대중문화 속 프리기아 모자

스머프 만화 시리즈에서, 이름을 따온 스머프들은 전형적으로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25]

2024년 하계 올림픽2024년 하계 패럴림픽의 공식 마스코트인 프리지(The Phryges)는 이 모자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26]

외젠 드라크루아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에서는 자유의 여신이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다. 이후, 프리기아 모자를 쓴 여신 마리안느가 프랑스 상징이 되었다.

참조

[1] 논문 Ancient Thrace and the Thracians through Athenian eyes 2016
[2] 웹사이트 Herodotus https://sacred-texts[...] Bryges
[3] 웹사이트 Strabo https://penelope.uch[...]
[4] 웹사이트 Phrygian cap https://www.britanni[...] 2020-11-11
[5] 논문 Transformations of a revolutionary emblem: The Liberty Cap in the French Revolution 1997
[6] 학위논문 The Birth of Dutch Liberty. Origins of the Pictorial Imagery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7] 문서 ibd
[8] 백과사전 CROWN i. In the Median and Achaemenid periods https://www.iranicao[...] 1993-12-15
[9] 논문 The Legend of Midas 1983-10
[10] 서적 Monuments of Early Christian Art: Sculptures and Catacomb Paintings : Illustrative Notes, Collected in Order to Promote the Reproduction of Remains of Art Belonging to the Early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 https://books.google[...] G. E. Eyre and W. Spottiswoode 1872
[11] 문서 Cf. Appian, Civil Wars 2:119: "The murderers wished to make a speech in the Senate, but as nobody remained there they wrapped their togas around their left arms to serve as shields, and, with swords still reeking with blood, ran, crying out that they had slain a king and tyrant. One of them bore a cap on the end of a spear as a symbol of freedom, and exhorted the people to restore the government of their fathers and recall the memory of the elder Brutus and of those who took the oath together against ancient kings."
[12] 간행물 The Liberty Cap as a Revolutionary Symbol in America and France
[13] 웹사이트 Britannia between Scylla & Charybdis. or... https://www.loc.gov/[...] 2019-01-07
[14] 서적 Les Origines des cultures révolutionnaires, 1789–1792 Paris 1904
[15] 논문 Transformations of a revolutionary emblem: The Liberty Cap in the French Revolution 1997
[16] 논문 The Red Cap of Liberty: A Study of Dress Worn by French Revolutionary Partisans 1789-94 1981
[17] 간행물 Liberty caps and liberty trees
[18] 서적 The Republican Moment: Struggles for Democracy in Nineteenth-Century France President & Fellows of Harvard College
[19] 학술지 Sisters of the Earth: The Landscapes, Radical Identities and Performances of Female Reformers in 1819 https://onlinelibrar[...] 2022
[20] 서적 Visuelle Rechtsverteidigung im Nordamerikakonflikt. Ein Beitrag zur Rezeption der englischen Freiheits- und Verfassungssymbolik in nordamerikanischen Druckgraphiken der Jahre 1765–1783, Signa Ivris, Vol. 13 (2014), pp. 315-346 https://freidok.uni-[...]
[21] 간행물 Frontiers of American Culture Purdue Research Foundation
[22] 웹사이트 Seal of Idaho https://statesymbols[...] 2014-09-12
[23] 간행물 College of Arms Newsletter, No. 8 (March 2006) http://www.college-o[...] College of Arms 2006-03
[24] 서적 Thomas Crawford: American Sculpto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64
[25] 서적 Pop Culture in Europ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10-12
[26] 웹사이트 Meet Olympic Phryge and Paralympic Phryge: The story of the Paris 2024 mascots https://olympics.com[...] 2022-11-14
[27] 서적 新版 モダリーナのファッションパーツ図鑑 マール社 2019-07-04
[28] 웹사이트 余録:フランス革命で「サン・キュロット」とは…|毎日新聞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8-12-04
[29] 웹사이트 クリスマス。イエス生誕の物語は、どうして私たちの心を打つのでしょうか? https://tenki.jp/sup[...] 日本気象協会、ALiNKインターネット 2019-12-25
[30] 웹사이트 0445夜『ミトラス教』マルタン・フェルマースレン https://1000ya.isis.[...] 株式会社松岡正剛事務所 2001-12-20
[31] 웹사이트 パリ五輪・パラ マスコットは「フリージュ」 | NHK https://web.archive.[...] 202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